🔹 소울댄스(Soul Dance)란?
스트릿 댄스에서 말하는 소울댄스는 특정한 단일 장르가 아니라,
1960~70년대 미국의 소울·펑크·디스코 음악에 맞춰 추던 파티댄스 스타일들의 총칭이에요.
즉, 오늘날 힙합 댄스(Hip-Hop Dance)가 태어나기 이전에,
클럽·파티에서 자연스럽게 즐기던 올드스쿨 댄스를 가리킵니다.
🔹 소울댄스의 배경
- 1960년대 후반 ~ 1980년대 초반
- 소울 음악(Soul Music), 펑크(Funk), 디스코(Disco) 등이 중심
- 미국의 흑인 커뮤니티와 클럽 문화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전
🔹 소울댄스에 포함되는 스타일
대표적으로 이런 댄스들이 소울댄스 범주에 들어갑니다:
- Locking (락킹) → 펑크 음악 기반, 코믹하고 파워풀한 동작
- Waacking (왁킹) → 디스코 음악 기반, 팔의 라인과 퍼포먼스 중심
- Punking → Waacking의 초기 형태
- Party Dance들 → 소울/펑크/디스코 곡에서 탄생한 스텝들
- 예: Hustle, Electric Slide, Smurf, Bart Simpson, Running Man 등
- 뉴잭스윙(New Jack Swing) → 80~90년대 초반 힙합과 R&B 결합 음악에 맞춘 스텝
🔹 소울댄스의 특징
- 음악성 → 소울, 펑크, 디스코 음악과 강하게 연결
- 자유로움 → 배운 동작을 그대로 따라추는 것보다, 리듬에 몸을 맡기고 즉흥적으로 즐김
- 커뮤니티성 → 클럽, 파티, 소울 트레인(Soul Train) 같은 무대에서 모두가 함께 즐기던 춤
👉 정리하면,
소울댄스 = 힙합 댄스 이전 시대에 소울/펑크/디스코 음악에 맞춰 추던 파티댄스 스타일 전체예요.
그래서 스트릿 댄스의 뿌리이자, 오늘날 힙합·하우스·뉴잭스윙 등 여러 장르의 기반이 되었습니다.
소울댄스 대표 스텝 (자주 쓰이는 것들)
- Running Man (러닝맨)
- 뉴잭스윙 대표 스텝, 제자리 뛰기처럼 보이지만 발을 뒤로 끌어내는 동작.
- 힙합, 케이팝 안무에서도 자주 활용됨.
- Roger Rabbit (로저 래빗)
- 뒤로 점프하면서 무릎을 당겨주는 스텝.
- 러닝맨과 세트처럼 자주 쓰임.
- Cabbage Patch (캐비지 패치)
- 양팔을 원을 그리듯 돌리며 어깨와 몸을 함께 흔드는 파티무브.
- Smurf (스머프)
- 양팔을 위아래로 흔들며 사이드 스텝을 밟는 동작.
- 올드스쿨 힙합 파티댄스의 기본.
- Reebok (리복)
- 한쪽 어깨와 힙을 강조하면서 스텝을 밟는 동작.
- 힙합 댄스에서 아직도 자주 쓰임.
- Bart Simpson (바트 심슨)
- 팔을 좌우로 뻗으며 스텝을 옆으로 이동하는 동작.
- 애니메이션 캐릭터 이름에서 유래.
- Happy Feet (해피 피트)
- 발끝과 뒤꿈치를 교차하며 리듬을 타는 경쾌한 스텝.
- Wop (웝)
- 팔을 위아래로 흔들며 점프하는 단순하지만 파워풀한 스텝.
- The Prep (더 프렙)
- 어깨와 상체를 좌우로 튕기며 사이드스텝.
- 소울트레인 영상에서도 자주 보임.
- Monestery / Party Machine 같은 파티댄스류
- 다양한 파티에서 생겨난 자유로운 스텝들.
- 오늘날 힙합 안무의 기초 재료로 많이 쓰임.
✅ 특징:
이 스텝들은 소울댄스 → 뉴잭스윙 → 힙합댄스로 이어지면서 여전히 올드스쿨 파티댄스의 기본기로 남아 있습니다. 그래서 지금도 댄스학원, 배틀, 케이팝 안무 속에 자주 녹아들어 있어요.
